교통업무/ITS

C-ITS(Coor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, 차세대 ITS)

세상 따라쟁이 2021. 2. 8. 11:12

1. C-ITS 목적

  ❍ (협의) 차량과 도로상황 정보를 상호 연계·교환하여 교통사고 예방

  ❍ (광의) 교통체계 구성요소간 연계(connectivity) 기반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공휴화(sharing) 및 자동화(Automation) 수준 고도화

 

2. C-ITS 중요성

  1) C-ITS는 스마트시티의 핵심인프라

     예) 미국 연방교통부 스마트챌린지(Smart City Challenges) 슬로건은 Connected Streets are the CORE of SMART CITIES)

 

  2) 교통체계 고도화의 핵심

    - 도로교통체계 구성요소(수단, 이용자, 인프라 등)의 고도화(자동화, 공유화, 연계성) 수준은 개별적·독립적이 아니라 구성 요소간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짐

 

  3) 스마트모빌리티의 핵심

    -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정의 : 상기한 교통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과정과 목적이 공유화·자동화 되는 교통서비스(Transport as a servis, TaaS)

 

  4) 미래 도로패러다임 전환의 핵심

    - 자동차를 위한 도로망(Road Network)이 아니라 TaaS를 위한 디지털망(Digital Connectivity)으로 패러다임 전환 필요

    - 디지털도로는 거리당 주변 서비스와의 연계기능이 핵심

 

3. 해외 추진동향

  1) 자율주행과 C-ITS 기반 스마트 인프라를 동시에 추진

    - 유럽의 ITS 정책 : 차 내외 협력기반의 모빌리티 정책추진(Cooperative, Connected anc Automated Mobility)

    - 미국 : 육상교통(자동차, 화물, 대중교통, 도로)의 통합연계 추진(Cooperative Automation,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s )

 

  2) 자율주행이 기존 교통체계의 효율성을 먼저 고려

    - 자율주행차의 불확실성 외에 기존 교통체계에 미치는 악영향 고려

 

  3) 도시유형별 모빌리티 모델연구 필요

 

 

- 한국교통연구원 블로그(blog.naver.com/koti10/222220420593) 포스트 요약.정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