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. 2. 26. 16:55ㆍ교통공부/대중교통-철도-물류
1. 정의
❍ 고속도로(expressway)와 교통연계시설(Hub)의 합성어
❍ 고속도로 대중교통서비스 강화를 목적으로 설치된 고속도로와 대중교통간 연계환승시설의 총칭
❍ 국가통합체계효율화법에 따른 교통시설 중 환승센터
❍ 이동성 위주의 고속도로에 대중교통 환승을 통한 접근성을 향상시켜 고속도로 서비스의 패러다임 전환
2. 법적근거
❍ 국가교통체계효율화법 제2조
- 광의의 ‘교통시설’ → 대중교통 수단간 환승목적 시설이므로 ‘환승시설’
→ 환승시설이 집합되어 있으므로 ‘환승센터’ 에 해당
❍ 정류장형·휴게소형 ex-HUB : 대중교통 연계 수송형 환승센터
❍ 터미널형 ex-HUB : 주차장형 환승센터, 터미널형 환승센터
3. ex-HUB의 차별성
1) 고속도로의 접근성 강화
❍ 환승센터를 고속도로 상에 설치하여 고속도로 대중교통 수단과의 직접 환승할 수 있어 고속도로의 접근성 향상
구분 |
기존 |
ex-HUB |
일반고속도로 |
- 환승휴게소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정차하는 시외버스 간 환승을 통해 노선효율 증대
|
- 휴게소와 외부 인접지역의 대중교통수단 및 개인교통수단과 고속도로 내부 대중교통수단간 환승이 가능하여 인근지역과의 연계성 향상 |
외곽순환 고속도로 |
- 해당 구간을 통행하는 광역버스의 정류장을 설치하여 광역버스 간 환승을 통한 연계성 강화
|
- 대규모 통행시설 인근 또는 고속도로 외부 대중교통 수단 정류장 인근에 설치하여 환승을 통한 연계 이외에 대중교통 접근 편의성도 향상 |
2) 고속도로 이용자의 통행시간 및 비용 절감
❍ 고속도로 이용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위한 별도의 통행이 최소화 되고 고속도로 인접 대규모 통행유발 시설까지
직접 통행이 가능해 동일한 목적지로 통행시 전체적인 통행시간 및 비용 절감
4. ex-HUB의 유형
1) 기능에 따른 구분
➀ 환승시설 기능
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한 고속도로 상 ex-HUB에서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간 또는 ex-HUB
인근지역 대중교통 수단간 연계 환승기능
➁ 터미널 기능
∘ 고속도로 내부 교통수단 및 외부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이 중간지점이 아닌 출발지 또는 목적지에서 이루어짐
∘ 주차시설을 구비하여 자가용을 이용한 환승 가능
∘ 상업·업무시설까지 포함하는 복합시설 기능
2) 시설에 따른 구분
❍ 시설 규모에 따라 버스정류소 시설과 환승센터로 구분
➀ 버스정류소형
∘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대중교통수단간 환승 또는 보행을 통한 고속도로 인근 대규모 교통유발시설 또는 대중교통
정류소 이용을 위하여 소규모 버스정류소, 보행통로시설을 갖춘 유형
∘ 고속도로 휴게소 내부 정류소와 외부 대중교통 정류소가 하나의 시설을 공유하여 직접 환승 가능
➁ 휴게소형
∘ 고속도로 본선상에 위치한 휴게소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내부 교통수단 간 또는 해당지역 대중교통수단간 환승이
동일한 시설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 시설유형
∘ 직접 환승이 되지 않고 외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행돌로 등을 통해 해당 정류소 까지 별도로 이동
※ 출처 : 고속도로와 대중교통 연계시설(ex-HUB) 구축연구, 2016.12., 한국도로공사
'교통공부 > 대중교통-철도-물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0-1-9] ICD (0) | 2021.02.25 |
---|